구분 | 분야 | 부문 | 평가수준 | 평가방법 |
---|---|---|---|---|
계 | 5개 분야 | 14개 부문 | ||
3개영역 5개분야 14개부문 | Mobility Creative Sector |
High school Division |
드론 등 모빌리티 운용에 관한 창의적 능력을 평가 드론조립, 코딩, 조작, 드론비행 및 미션수행으로 문제 해결능력을 평가 |
주제별 공모 현장방문 평가 |
College student Division |
창의적 드론, 모빌리티 구현, 코딩 및 운영능력을 평가 |
|||
Digital Creative Sector |
Digital Content Solutions Division |
디지털 콘텐츠, 또는 정보통신관련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갖춘 프로그램으로 ICT 융합을 통한 플러스 IT를 표방하고 비 IT산업 지향적 웹 기반 솔루션 구현능력을 평가함 |
||
e-Business Division |
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상품과 서비스 제공에 대하여 그 가치와 디자인, 기능 구현의 다양성 등을 평가함 |
|||
Infrastructure Architecture Division |
사용자 요구사항을 논리적으로 분해한 것을 기반으로 개념적, 논리적, 물리적으로 표현된 프로그램 구현능력을 평가함 |
|||
Online Marketing Division |
온라인으로 실행할 제품의 기획, 시장 조사, 제품 판매 계획 및 광고 실행 과정에서의 효과에 대한 측정과 디자인 능력, 카피라이트 능력등을 평가함 |
|||
Web 3.0 Services Sector |
Mobile Services Division |
스마트 모바일 홈페이지 제작역량을 평가하며, 디자인, 프로그램,UI, UX 등 9개 항목을 기준으로 평가함 |
||
UI/UX Division |
디자인의 완성도와 효율성, 독창성을 기반으로 정보구조의 적절성,효율성과 편이성, 직관성과 내결합성, 인터페이스의 친숙성, UI/UX의 독창성 등을 평가함 |
|||
e-Commerce Division |
인터넷 웹사이트상에 구축된 가상의 상점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거래하는 웹 기반 프로그램방식의 인터넷홈페이지 구현능력을 평가함 |
|||
Government 3.0 Service Convergence Division |
국민 개개인을 중심으로 확장된 민주성, 스마트 모바일을 이용하여 공공 데이터 정보기술을 통하여 국민들의 만족도를 증가하고 창의적이고 기술혁신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3.0기반의 웹 서비스 융합기술을 평가함 |
|||
Smart Factory Sector |
Smart Factory Machine Vision Hardware Creative Division |
스마트팩토리 구현을 위해 필요한 머신비전 하드웨어 기술 능력을 평가함 |
||
Smart Factory Machine Vision Software/Solution Creative Division |
스마트팩토리 구현을 위해 필요한 머신비전 소프트웨어와 솔루션 기술 능력을 평가함 |
|||
AI Machine Vision sector |
Non-Factory AI Vision Hardware Creative Division |
공장 이외에 적용되는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비전 하드웨어 기술 능력을 평가함 |
||
Non-Factory AI Vision Software/Solution Creative Division |
공장 이외에 적용되는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비전 소프트웨어, 솔루션 기술 능력을 평가함 |